본문 바로가기
좋은글,좋은시

상황별 물 섭취방법

by 마음 향기 2018. 6. 24.
반응형

☆ 상황별 물섭취 방법 ☆ 
 
1. 식사중 
 
물을 조금씩 마시는 것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단, 식사 중간에 물을 많이 마시고 소화가 안 되는 경험을 했다면 줄이는 게 좋다. 또한 밥을 먹을 때 많은 양의 국물을 마시는 것은 나트륨 과다 섭취로 이어지므로 주의한다. 
 
2. 설사중 
 
설사를 하면 수분을 잃게 되므로, 충분한 수분과 전해질 섭취가 중요하다. 물을 마실 수 있다면 충분히 마시는 게 좋으나, 복통·구토가 심해 물조차 마시기 어려우면 억지로 마시지 않는다. 입만 축일 정도로 아주 조금씩 마시고, 진정된 후 충분히 마신다. 설사가 심해 탈수되어 물을 마시기 어렵다면 수액을 맞아서라도 수분을 보충한다. 
 
3. 다이어트중 
 
충분한 수분 공급은 신진대사를 원활히 한다. 물은 칼로리가 없으므로 많이 마셔도 살이 찌지 않는다. 다이어트로 인한 변비·탈수 예방도 가능하다. 
 
4. 운동중 
 
운동 전, 운동 중간, 운동 후로 나누어서 섭취한다. 운동하기 전에 물을 한 잔 마신다. 단, 운동 직전에 물을 너무 많이 마시면 위에서 물이 출렁거려 운동에 지장을 준다. 운동 중에는 목이 마르지 않더라도 매시간 120∼240㏄의 물을 지속적으로 마신다. 갈증을 느낀다는 건 이미 몸속에 수분이 부족하다는 의미다. 수분이 부족하면 운동능력과 집중력이 떨어진다. 장거리 마라톤같이 오랜 시간 고강도 운동을 할 때는 물보다 스포츠음료가 좋다. 땀을 많이 흘리면 나트륨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스포츠음료로 미네랄을 함께 보충한다. 
 
5. 신장이 나쁜중 
 
신장이 나빠지면 염분 처리를 못해 염분 과부하가 된다. 체내의 과도한 염분을 희석하려고 수분을 배출하지 않아 몸이 붓는다. 만성신부전 환자는 염분 섭취를 엄격히 제한한다. 만성신부전증처럼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수분 섭취를 제한하지 않으나, 수분 배출량에 따라 섭취량을 결정한다. 
 
5. 당뇨병을 앓는중 
 
소변과 땀의 배설량에 따라 수분을 보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당뇨병 합병증으로 신장이 나빠지는 당뇨병성신병증이 있으면 과다한 수분 섭취가 부종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6. 고혈압을 앓는중 
 
체내 수분이 많으면 이를 배출하기 위해 심장이 강한 압력으로 박동해 혈관 내 압력이 높아진다. 그래서 고혈압 환자는 물을 많이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혈압 환자라도 특별히 수분을 제한할 필요는 없다. 신장 기능이 정상이면 일반 기준에 맞춰 물을 마신다. 이뇨제를 복용하면 소변량을 고려해 물을 보충한다. 수분량이 부족하면 혈관이 수축하고 혈전이 생길 위험이 커진다. 단, 염분은 제한한다. 염분을 과다 섭취하면, 혈액량을 늘려 혈압을 상승시키기 때문이다. 
 
7. 저혈압을 앓는중 
 
평소 저혈압이거나, 특히 ‘기립성저혈압’을 경험했다면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한다. 탈수를 막으면 저혈압이나 관련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건망증 없애는 6가지 방법
http://bit.ly/2kyVJ7C

손으로 지키는 건강법 9가지
http://bit.ly/2wNlb29

뇌를 늙게 만드는 나쁜 습관들    
http://bit.ly/2vT83b8
반응형